인터넷 방송에 필요한 장비와 구성에 대해서 1 |
|
|
 홈페이지 |
20년 전 |
인터넷 방송에 필요한 장비와 구성에 대해서 1
이번에는 인터넷 방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관련장비와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무래도 처음 공부하시는 분이나 초보자를 위한 설명이겠지요? ^^
우선 인터넷 방송을 위해 운영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알기 쉽기 편하도록 4단계로 나누어서 설명을 하죠.
1. 스튜디오 2. Encoder 3. Media Server
4. 클라이언트

첫 번째 스튜디오에서는 규모에 따라 틀려지지만 카메라, 비디오 스위쳐, 마이크, 사운드 믹서,
조명, 모니터, 편집장비 등으로 구성됩니다.
말 그대로 방송국의 스튜디오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 그렇다구 공중파방송국처럼 대규모의 으리으리한 스튜디오 말구여 ^^; )
이부분에서는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질 영상물이 제작되어지고 편집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 번째 Encoder는 스튜디오에서 들어온 소스를 encoding 하는 과정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Live 나 편집된 영상소스를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질 asf 파일로 만드는
기계라고 할까여? (기계라는 표현은 넘 심했나? ^^; 수정해서 컴퓨러~~~)
그냥 사양 빵빵한 컴퓨터에 Osprey 라는 캡쳐보드만 달았다고 생각하면 되요...
세 번째 Media Server 는 encoding 해서 만들어진 컨텐츠(asf파일)를
스트리밍방식으로 최종 클라이언트들에게 서비스 하는 역할을 합니다.
VOD 같은 경우 Ftp 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직접 하드에 asf 파일을 저장하면 되구
Live 방송 같은 경우에는 엔코딩 되는 대역폭 보다 조금 높은 라인으로
(300 K 로 encoding 한다면 512K 나 T1 라인 정도가 좋겠죠? ^^ )
Encoder에서 Media Server로 보내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에게는 미디어서버에서 (IDC 센타) 유니캐스트나 멀티캐스트,
CDN (Content Delivery Networkl)등의 방식으로 스트리밍 되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경우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가 되어지고 있고,
간 혹 성인방송국이나 조성민&최진실의 결혼식, 백지영 콘서트 같은 경우 CDN 솔루션이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멀티 캐스트는 아직까지 인터넷상으로 서비스 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멀티 캐스트로 서비스가 될려면 라우터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한데 현재 까지는 불가능
하다고 보면 됩니다. 삼성물산 사내방송처럼 인트라넷을 이용하거나 위성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가능하지요. 또한 작년말부터 이지씨앤씨 나 리츠커뮤니케이션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 적으로 구현되는 멀티캐스팅 서비스가 이용되고 있기도 합니다.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CDN(Content Delivery Network) ,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멀티캐스팅 서비스에 대해서는
차 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 방송 구성에 대해서는 여기서 마치고 다음장에서 장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inue...
|
|
추천 : 342 |
추천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