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아이디/비번찾기
홈으로


php 함수
11년 전
[elseif]
함수명 ==>   elseif
사용 형식 ==>   elseif () {}
설 명 ==>  
결과 값 return ==>  

[else]
함수명 ==>   else
사용 형식 ==>   else {}
설 명 ==>  
결과 값 return ==>  

[switch]
함수명 ==>   switch
사용 형식 ==>   switch() {        case : }
설 명 ==>  
결과 값 return ==>  

[for]
함수명 ==>   for
사용 형식 ==>   for( ; ; ) {}
설 명 ==>  
결과 값 return ==>  

[foreach]
함수명 ==>   foreach
사용 형식 ==>   foreach( as ) {}
설 명 ==>  
결과 값 return ==>  

[while]
함수명 ==>   while
사용 형식 ==>   while() {}
설 명 ==>  
결과 값 return ==>  

[return]
함수명 ==>   Return
사용 형식 ==>   Return;
설 명 ==>  
결과 값 return ==>  

[function]
함수명 ==>   function
사용 형식 ==>   function () {}
설 명 ==>  
결과 값 return ==>  

[class]
함수명 ==>   class
사용 형식 ==>   class {}
설 명 ==>  
결과 값 return ==>  

[time]
함수명 ==>   time()
설 명 ==>   현재 시각을 timestamp값으로 구한다.
사용 형식 ==>   time()
결과 값 return ==>  

[date]
함수명 ==>   date()
설 명 ==>   사용자가 지정한 형태로 시간을 표시. 특정시간의 날짜와 요일등을 배열로 리턴한다.
사용 형식 ==>   date("시간포맷","timestamp")
결과 값 return ==>  

[mktime]
함수명 ==>   mktime()
설 명 ==>   지정된 날짜를 timestamp값으로 변환한다.
사용 형식 ==>   mktime(시,분,초,월,일,년)
결과 값 return ==>  

[getimagesize]
함수명 ==>   GetImageSize()
설 명 ==>   이미지파일의 사이즈를 가로,세로로 리턴(array)한다.
사용 형식 ==>   getimagesize("이미지파일")
결과 값 return ==>  

[checkdate]
함수명 ==>   checkdate()
설 명 ==>   날짜와 시간이 올바른 범위 안에 있는지 검사한다.
사용 형식 ==>   checkdate(월,일,년)
결과 값 return ==>  

[getdate]
함수명 ==>   getdate()
설 명 ==>   특정timestamp값으로 시간,요일,날짜정보를 배열로 반환한다.
사용 형식 ==>   getdate(timestamp)
결과 값 return ==>  

[gettimeofday]
함수명 ==>   gettimeofday()
설 명 ==>   현재 시스템의 현재 시간 정보를 배열로 리턴한다.
사용 형식 ==>   gettimeofday()
결과 값 return ==>  

[gmmktime]
함수명 ==>   gmmktime()
설 명 ==>   그리니치표준 시간으로 지정한 날짜의 timestamp값을 리턴한다.
사용 형식 ==>   gmmktime(시,분,초,월,일,년)
결과 값 return ==>  

[strftime]
함수명 ==>   strftime()
설 명 ==>   특정한 포맷으로 날짜 정보를 출력하는데 언어를 지정할수 있다.
사용 형식 ==>   strftime("시간포맷","timestamp")
결과 값 return ==>  

[microtime]
함수명 ==>   microtime()
설 명 ==>   현재시간의 마이크로타임 값과 timestamp값을 표시한다.
사용 형식 ==>   microtime()
결과 값 return ==>  

[localtime]
함수명 ==>   localtime()
설 명 ==>   현재 서버의 로컬 타임을 표시
사용 형식 ==>   localtime("timestamp")
결과 값 return ==>  

[addslashes]
함수명 ==>   addslashes()
설 명 ==>   작은따옴표 큰따옴표와 같은 특정문자 앞에 역슬래시 문자를 붙인다.
사용 형식 ==>   addslashes()
결과 값 return ==>  

[stripslashes]
함수명 ==>   stripslashes()
설 명 ==>   allslashes로 역슬래시 처리된 문자를 원상태로 되돌린다.
사용 형식 ==>   stripslashes()
결과 값 return ==>  

[htmlspecialchars]
함수명 ==>   htmlspecialchars()
설 명 ==>   HTML코드를 소스 그대로 출력해준다.
사용 형식 ==>   htmlspecialchars()
결과 값 return ==>  

[nl2br]
함수명 ==>   nl2br()
설 명 ==>   문자열에 포함된 개행 문자를 <br>태그로 모두 바꿔준다.
사용 형식 ==>   nl2br()
결과 값 return ==>  

[echo]
함수명 ==>   echo();
설 명 ==>   문자열 출력
사용 형식 ==>   echo("변수명" 또는 "문자열")
결과 값 return ==>  

[eregi]
함수명 ==>   eregi();
설 명 ==>   지정 문자열내에서 대소문자 구분없이 문자열 또는 정규식으로 특정 문자 또는 기호,숫자등을 찾을때
사용 형식 ==>   eregi("찾는문자/정규식","지정 문자열")
결과 값 return ==>  

[ereg]
함수명 ==>   ereg();
설 명 ==>   지정 문자열내에서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문자열 또는 정규식으로 특정 문자 또는 기호,숫자등을 찾을때
사용 형식 ==>   ereg("찾는문자/정규식","지정 문자열")
결과 값 return ==>  

[eregi_replace]
함수명 ==>   eregi_replace();
설 명 ==>   지정 문자열내에서 대소문자를 구분없이 찾는 문자열 또는 정규식으로 특정 문자열,기호,숫자등을 찾아서 타겟 문자열 형식으로 변환할때
사용 형식 ==>   eregi_replace("찾는문자/정규식","타겟문자열","지정 문자열")
결과 값 return ==>  

[ereg_replace]
함수명 ==>   ereg_place();
설 명 ==>   지정 문자열내에서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찾는 문자열/정규식으로 특정 문자열,기호,숫자등을 찾아서 타겟 문자열 형식으로 변환할때
사용 형식 ==>   ereg_replace("찾는문자/정규식","타겟문자열","지정 문자열")
결과 값 return ==>  

[include]
함수명 ==>   include();
설 명 ==>   특정 파일을 소스내에 포함시킬 때.
사용 형식 ==>   include("경로/파일명")
결과 값 return ==>  

[print]
함수명 ==>   pring();
설 명 ==>   문자열 출력
사용 형식 ==>   print("변수명" 또는 "문자열")
결과 값 return ==>  

[sprintf]
함수명 ==>   sprintf()
설 명 ==>   포맷 문자열을 통해 지정해 준 포맷으로 문자열을 표시한다.
사용 형식 ==>   sprintf("포맷","변수명")
결과 값 return ==>  

[printf]
함수명 ==>   printf()
설 명 ==>   지정할 수 있는 포맷에 따라 문자열을 출력한다.
사용 형식 ==>   printf("포맷","변수명")
결과 값 return ==>  

[explode]
함수명 ==>   explode()
설 명 ==>   문자열을 지정해준 구분자로 분리하여 배열에 저장한다.
사용 형식 ==>   explode("구분자","문자열인수")
결과 값 return ==>  

[implode]
함수명 ==>   implode()
설 명 ==>   구분자로 나누어 배열에 담은 문자열을 다시 지정해준 구분자로 연결하여 전체 문자열을 반환한다.
사용 형식 ==>   implode("구분자",배열변수명)
결과 값 return ==>  

[join]
함수명 ==>   join()
설 명 ==>   implode()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 형식 ==>   join("/", "배열변수명")
결과 값 return ==>  

[split]
함수명 ==>   split()
설 명 ==>   주어진 문자열을 정규표현식의 패턴에 따라 분리하여 배열에 저장한다.
사용 형식 ==>   implode("정규표현식","문자열")
결과 값 return ==>  

[strcmp]
함수명 ==>   strcmp()
설 명 ==>   두개의 문자열을 비교하여 참이면1, 거짓이면 0을 반환한다.
사용 형식 ==>   strcmp("문자열","문자열") 또는 strcmp("문자열","변수명") 또는 strcmp(변수명, 변수명)
결과 값 return ==>  

[substr]
함수명 ==>   substr()
설 명 ==>   문자열에서 특정시작 문자부터 길이만큼의 문자열을 추출하여 반환한다.
사용 형식 ==>   substr("문자열", 시작문자번호, 문자열의 길이)
결과 값 return ==>  

[exit]
함수명 ==>   exit;
설 명 ==>   PHP의 수행을 중단시킨다.
사용 형식 ==>   exit;
결과 값 return ==>  

[strchr]
함수명 ==>   strchr()
설 명 ==>   문자열이 처음으로 나타나는 위치부터 끝까지 반환
사용 형식 ==>   strchr("문자열","찾을 문자열")
결과 값 return ==>  

[strstr]
함수명 ==>   strstr()
설 명 ==>   strchr()함수와 동일한 수행을 한다.
사용 형식 ==>   strstr("문자열","찾을 문자열")
결과 값 return ==>  

[strrchr]
함수명 ==>   strrchr()
설 명 ==>   문자열이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위치부터 끝까지 반환한다.
사용 형식 ==>   strrchr("문자열","찾을문자열")
결과 값 return ==>  

[strpos]
함수명 ==>   strpos()
설 명 ==>   문자열 대신 처음으로 나타나는 위치를 숫자로 반환, 이때 숫자는 0부터 시작.
사용 형식 ==>   strpos("문자열","찾을 문자열")
결과 값 return ==>  

[strrpos]
함수명 ==>   strrpos()
설 명 ==>   찾고자 하는 문자열에서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위치를 반환한다.
사용 형식 ==>   strrpos("문자열", "찾을 문자열")

[strlen]
함수명 ==>   strlen()
설 명 ==>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한다.
사용 형식 ==>   strlen($변수명) 또는 strlen("문자열")
결과 값 return ==>  

[strtolower]
함수명 ==>   strtolower()
설 명 ==>   알파벳 대문자를 모두 소문자로 바꾸어 반환한다.
사용 형식 ==>   strtolower("문자열")
결과 값 return ==>  

[strtoupper]
함수명 ==>   strtoupper()
설 명 ==>   알파벳 대문자를 소문자로 바꾸어 반환한다.
사용 형식 ==>   strtoupper("문자열")
결과 값 return ==>  

[ucfirst]
함수명 ==>   ucfirst()
설 명 ==>   알파벳 문자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반환한다.
사용 형식 ==>   unfirst("문자열")
결과 값 return ==>  

[ucwords]
함수명 ==>   ucwords()
설 명 ==>   알파벳 문자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반환한다.
사용 형식 ==>   ucwords("문자열")
결과 값 return ==>  

[strrev]
함수명 ==>   strrev()
설 명 ==>   인자로 전달한 문자열의 순서를 역전시킨다.
사용 형식 ==>   strrev("문자열")
결과 값 return ==>  

[strtr]
함수명 ==>   strtr()
설 명 ==>   문자열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문자열을 변경할문자열로 1:1 변경해준다.
사용 형식 ==>   strtr("문자열","변경할문자열","변경할 문자열")
결과 값 return ==>  

[str_replace]
함수명 ==>   str_replace
설 명 ==>   문자열 중에 변경하고자 하는 문자열을 찾아 변환한다.
사용 형식 ==>   str_replace("찾을문자열","변경할문자열","문자열 원본")
결과 값 return ==>  

[chop]
함수명 ==>   chop()
설 명 ==>   문자열의 뒷부분의 공백 문자를 제거한 후 반환한다.
사용 형식 ==>   chop("문자열")
결과 값 return ==>  

[trim]
함수명 ==>   trim()
설 명 ==>   문자열의 앞과 뒤에 있는 공백을 제거한 후 문자열을 반환한다.
사용 형식 ==>   trim("문자열")
결과 값 return ==>  

[quotemeta]
함수명 ==>   quotemeta()
설 명 ==>   메타문자 앞에 역슬래시를 붙인다.
사용 형식 ==>   quotemeta()
결과 값 return ==>  

[chr]
함수명 ==>   chr()
설 명 ==>   아스키함수에 해당하는 문자를 반환한다.
사용 형식 ==>   chr("아스키값")
결과 값 return ==>  

[ord]
함수명 ==>   ord()
설 명 ==>   문자열에서 첫번째 문자에 아스키코드값을 반환한다.
사용 형식 ==>   ord("문자열")
결과 값 return ==>  

[parse_str]
함수명 ==>   parse_str()
설 명 ==>   get방식과 같은 형태의 변수형을 변수와 값으로 받을 수 있게 해준다.
사용 형식 ==>   parse_str(변수명)
결과 값 return ==>  

[fopen]
함수명 ==>   fopen()
설 명 ==>   로컬경로의 파일이나 url경로의 파일을 읽기 모드나 쓰기 모드로 열어준다.
사용 형식 ==>   fopen("절대경로명/파일", "모드"),fopen("url주소", "모드")
결과 값 return ==>  

[fclose]
함수명 ==>   fclose()
설 명 ==>   fopen으로 열린 파일을 닫는다.
사용 형식 ==>   fclose($fp)
결과 값 return ==>  

[fread]
함수명 ==>   fread()
설 명 ==>   파일포인터가 가리키는 파일의 내용을 지정한 크기만큼 읽어 들인다.
사용 형식 ==>   fread($fp,"읽어들일 바이트")
결과 값 return ==>  

[feof]
함수명 ==>   feof()
설 명 ==>   현재 파일 포인터가 파일의 끝인지를 알려주는 함수
사용 형식 ==>   feof($fp)
결과 값 return ==>  

[fgets]
함수명 ==>   fgets()
설 명 ==>   파일을 읽어올때 한줄씩 읽어온다.
사용 형식 ==>   fgets($fp,"읽어들일 바이트")
결과 값 return ==>  

[fputs]
함수명 ==>   fputs()
설 명 ==>   파일을 a 또는 w 모드로 열어 문자열을 파일에 기록한다.
사용 형식 ==>   fputs($fp, "문자열")
결과 값 return ==>  

[fwirte]
함수명 ==>   fwirte()
설 명 ==>   파일을 기록한다.
사용 형식 ==>   fwrite($fp, "문자열")
결과 값 return ==>  

[fpassthru]
함수명 ==>   fpassthru()
설 명 ==>   파일포인터의 현재 위치에서 파일의 끝까지 읽어 들이도록 한다.
사용 형식 ==>   fpassthru($fp)
결과 값 return ==>  

[readfile]
함수명 ==>   readfile()
설 명 ==>   fpassthru와 비슷하지만 fopen()없이 직접 바로 파일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읽어들인 파일의 절대경로를 포함한다.
사용 형식 ==>   readfile("파일의 절대경로 또는 상대경로/파일명")
결과 값 return ==>  

[fgetc]
함수명 ==>   fgetc()
설 명 ==>   파일로부터 한문자를 읽어들인다.
사용 형식 ==>   fgetc($fp)
결과 값 return ==>  

[filesize]
함수명 ==>   filesize()
설 명 ==>   파일의 크기를 바이트수로 반환한다.
사용 형식 ==>   filesize("파일경로/파일명")
결과 값 return ==>  

[file_exists]
함수명 ==>   file_exists()
설 명 ==>   파일이름으로 지정한 파일이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사용 형식 ==>   file_exists("파일경로/파일명")
결과 값 return ==>  

[is_file]
함수명 ==>   is_file()
설 명 ==>   파일이름으로 지정한 이름이 파일면 true를 반환한다.
사용 형식 ==>   is_file("파일경로/파일명")
결과 값 return ==>  

[is_dir]
함수명 ==>   is_dir()
설 명 ==>   파일이름으로 지정한 이름이 디렉토리일경우 true를 반환한다.
사용 형식 ==>   is_dir("파일경로/파일명")
결과 값 return ==>  

[is_link]
함수명 ==>   is_link()
설 명 ==>   파일이름으로 지정한 이름이 심볼릭 링크일경우 true를 반환한다.
사용 형식 ==>   is_link("파일경로/파일명")
결과 값 return ==>  

[is_escutable]
함수명 ==>   is_escutable()
설 명 ==>   파일이름으로 지정한 파일이 실행 가능한 파일이면 true를 반환한다.
사용 형식 ==>   is_excutable("파일경로/파일명")
결과 값 return ==>  

[is_readable]
함수명 ==>   is_readable()
설 명 ==>   파일이름으로 지정한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읽기 가능한경우 true를 반환한다
사용 형식 ==>   is_readable("파일경로/파일명 또는 디렉토리명")
결과 값 return ==>  

[is_writeable]
함수명 ==>   is_writeable()
설 명 ==>   파일이름으로 지정한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쓰기 가능한 경우 true를 반환한다
사용 형식 ==>   is_writeable("파일경로/파일명 또는 디렉토리명")
결과 값 return ==>  

[copy]
함수명 ==>   copy()
설 명 ==>   파일을 복사하고 제대로 수행이 되면 true를 반환한다.
사용 형식 ==>   copy("파일경로/복사할 파일명", "파일경로/복사된 파일명")
결과 값 return ==>  

[rename]
함수명 ==>   rename()
설 명 ==>   파일을 이름을 바꾼다. 제대로 수행이 되면 true를 반환한다.
사용 형식 ==>   rename("파일경로/변경할 파일명", "파일경로/변경후 파일명")
결과 값 return ==>  

[unlink]
함수명 ==>   unlink()
설 명 ==>   파일을 삭제한다. 제대로 수행될 경우 true를 반환한다.
사용 형식 ==>   unlink("파일경로/삭제할 파일명")
결과 값 return ==>  

[mkdir]
함수명 ==>   mkdir()
설 명 ==>   디렉토리를 생상하고 동시에 권한도 함께 지정할 수 있다.
사용 형식 ==>   mkdir("경로/디렉토리명")
결과 값 return ==>  

[rmdir]
함수명 ==>   rmdir()
설 명 ==>   디렉토리 삭제
사용 형식 ==>   rmdir("경로/디렉토리명")
결과 값 return ==>  

[basename]
함수명 ==>   basename()
설 명 ==>   경로명과 파일명을 받아 파일명만을 반환한다.
사용 형식 ==>   basename("파일경로/파일명")
결과 값 return ==>  

[dirname]
함수명 ==>   dirname()
설 명 ==>   경로명과 파일명을 받아 경로명만을 반환한다.
사용 형식 ==>   dirname("파일경로/파일명")
결과 값 return ==>  

[file]
함수명 ==>   file()
설 명 ==>   줄단위로 읽어서 각 줄으 문자열을 배열로 하여 반환한다.
사용 형식 ==>   dirname("파일경로/파일명")
결과 값 return ==>  

[opendir]
함수명 ==>   opendir()
설 명 ==>   지정한 디렉토리에 대한 핸들을 얻는다.
사용 형식 ==>   opendir("디렉토리 경로")
결과 값 return ==>  

[closedir]
함수명 ==>   closedir()
설 명 ==>   opendir()함수 호출로 열어둔 디렉토리에 대한 핸들을 닫는다.
사용 형식 ==>   closedir($od)
결과 값 return ==>  

[readdir]
함수명 ==>   readdir()
설 명 ==>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디렉토리 및 파일들의 이름을 읽어 배열의 형태로 반환
사용 형식 ==>   readdir($od)
결과 값 return ==>  

[rewinddir]
함수명 ==>   rewinddir()
설 명 ==>   디렉토리 핸들의 포인터 위치를 제일 처음으로 되돌린다.
사용 형식 ==>   rewinddir($od)
결과 값 return ==>  

[chdir]
함수명 ==>   chdir()
설 명 ==>   지저한 디렉토리로 바꾼다.
사용 형식 ==>   chdir("경로명/디렉토리명")
결과 값 return ==>  

[dir]
함수명 ==>   dir()
설 명 ==>   디렉토리 관련 함수를 사용할 수 있는 클래스
사용 형식 ==>   dir("경로/디렉토리명")
결과 값 return ==>  

[parse_url]
함수명 ==>   parse_url()
설 명 ==>   url을 입력하면 해당 url에 대한 정보를 연관 배열로 저장하여 반환
사용 형식 ==>   parse_url("URL주소")
결과 값 return ==>  

[urlencode]
함수명 ==>   urlencode()
설 명 ==>   데이터를 url인코딩해준다.
사용 형식 ==>   urlencode("문자열")
결과 값 return ==>  

[urldecode]
함수명 ==>   urldecode()
설 명 ==>   url을 통해 넘어온 값 중 인코딩된 문자열을 디코딩한다.
사용 형식 ==>   urldecode("문자열")
결과 값 return ==>  

[gettype]
함수명 ==>   gettype()
설 명 ==>   변수형을 반환한다.
사용 형식 ==>   gettype("변수명")
결과 값 return ==>  

[settype]
함수명 ==>   settype()
설 명 ==>   변수형을 변환한다.
사용 형식 ==>   settype("변수명", "변수타입")
결과 값 return ==>  

[intval]
함수명 ==>   intval()
설 명 ==>   변수값을 정수형 값으로 변환
사용 형식 ==>   intval("변수값")
결과 값 return ==>  

[doubleval]
함수명 ==>   doubleval()
설 명 ==>   변수값을 실수형 값으로 변환한다.
사용 형식 ==>   doubleval("변수값")
결과 값 return ==>  

[strval]
함수명 ==>   strval()
설 명 ==>   변수를 문자형 값으로 변환한다.
사용 형식 ==>   strval("변수값")
결과 값 return ==>  

[isset]
함수명 ==>   isset()
설 명 ==>   변수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사용 형식 ==>   isset("변수명")
결과 값 return ==>  

[unset]
함수명 ==>   unset()
설 명 ==>   변수를 삭제한다.
사용 형식 ==>   unset("변수명")
결과 값 return ==>  

[empty]
함수명 ==>   empty()
설 명 ==>   변수에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없으면 true를 있으면 false를 반환한다.
사용 형식 ==>   empty("변수명")
결과 값 return ==>  

[is_array]
함수명 ==>   is_array()
설 명 ==>   변수의 형이 배열인지 확인한다.
사용 형식 ==>   is_array("변수명")
결과 값 return ==>  

[is_double]
함수명 ==>   is_double
설 명 ==>   변수의 형이 더블형인지 확인한다.
사용 형식 ==>   is_double("변수명")
결과 값 return ==>  

[abs]
함수명 ==>   abs()
설 명 ==>   변수의 절대값을 반환
사용 형식 ==>   abs("변수명")
결과 값 return ==>  

[round]
함수명 ==>   round()
설 명 ==>   변수의 반올림한 값을 구한다.
사용 형식 ==>   round("변수명")
결과 값 return ==>  

[crypt]
함수명 ==>   crypt();
사용 형식 ==>   crypt("문자열","암호키");
설 명 ==>   특정문자열을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한다.
결과 값 return ==>  

[ceil]
함수명 ==>   ceil()
설 명 ==>   변수 값의 무조건 올림 값을 구한다.
사용 형식 ==>   ceil("변수명")
결과 값 return ==>  

[floor]
함수명 ==>   floor()
설 명 ==>   변수값의 무조건 내림 값을 구한다.
사용 형식 ==>   floor("변수명")
결과 값 return ==>  

[pow]
함수명 ==>   pow()
설 명 ==>   인자 값만큼 제곱승 한 값을 구한다.
사용 형식 ==>   pow("변수명", "제곱할 횟수")
결과 값 return ==>  

[min]
함수명 ==>   min()
설 명 ==>   최소값을 구한다.
사용 형식 ==>   min("숫자값", "숫자값",...)
결과 값 return ==>  

[max]
함수명 ==>   max()
설 명 ==>   최대값을 구한다.
사용 형식 ==>   max("숫자값", "숫자값",...)
결과 값 return ==>  

[count]
함수명 ==>   count()
설 명 ==>   배열의 크기를 구한다.
사용 형식 ==>   count("변수명")
결과 값 return ==>  

[sizeof]
함수명 ==>   sizeof()
설 명 ==>   배열의 크기를 구한다.
사용 형식 ==>   sizeof("변수명")
결과 값 return ==>  

[each]
함수명 ==>   each()
설 명 ==>   배열의 내용을 출력할때 사용한다.
사용 형식 ==>   each("배열변수명")
결과 값 return ==>  

[list]
함수명 ==>   list()
설 명 ==>   배열의 내용을 출력할때 사용한다.
사용 형식 ==>   list("배열의 인자를 받을 변수명", "배열의 인자를 받을 변수명"...)
결과 값 return ==>  

[end]
함수명 ==>   end()
설 명 ==>   현재 배열의 포인터를 끝으로 이동시킨다.
사용 형식 ==>   end("배열변수명")
결과 값 return ==>  

[next]
함수명 ==>   next()
설 명 ==>   현재 배열의 포인터를 다음으로 이동시킨다.
사용 형식 ==>   next("배열변수명")
결과 값 return ==>  

[reset]
함수명 ==>   reset()
설 명 ==>   reset은 배열포인터를 다시 처음으로 되돌린다.
사용 형식 ==>   reset("배열변수명")
결과 값 return ==>  

[exec]
함수명 ==>   exec()
설 명 ==>   리눅스 서버의 내부 명령어를 사용하게 한다.
사용 형식 ==>   exec("리눅스명령어", "결과를 저장할 변수명" ,"에러발생시 저장할 변수명")
결과 값 return ==>  

[number_format]
함수명 ==>   number_format()
설 명 ==>   천단위마다 ","를 붙여준다.
사용 형식 ==>   number_format("변수명", "소수점자리수", "소수점 표시마크변경", "천단위 표시 마크변경")
결과 값 return ==>  

[show_source]
함수명 ==>   show_source()
설 명 ==>   php파일의 소스를 보여준다.
사용 형식 ==>   show_source("경로명/파일명")
결과 값 return ==>  

[highlight_string]
함수명 ==>   highlight_string()
설 명 ==>   php파일의 소스를 보여준다.
사용 형식 ==>   show_source("경로명/파일명")
결과 값 return ==>  

[uniqid]
함수명 ==>   uniqid()
설 명 ==>   유일한 아이디 값을 만들어준다
사용 형식 ==>   uniqid()
결과 값 return ==>  

[PHP_SELF]
함수명 ==>   $PHP_SELF
사용 형식 ==>   $PHP_SELF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document root를 기준으로 한 현재 실행중인 스크립트의 파일 이름. PHP를 커맨드라인으로 샐행한 경우 이 변수는 사용할 수 없다.

[HTTP_COOKIE_VARS]
함수명 ==>   $HTTP_COOKIE_VARS
사용 형식 ==>   $HTTP_COOKIE_VARS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 스크립트에 HTTP 쿠키를 사용해 전달된 변수의 associative 배열

[HTTP_GET_VARS]
함수명 ==>   $HTTP_GET_VARS
사용 형식 ==>   $HTTP_GET_VARS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 스크립트에 HTTP GET 메소드를 사용해 전달된 변수의 associative 배열

[HTTP_POST_VARS]
함수명 ==>   $HTTP_POST_VARS
사용 형식 ==>   $HTTP_POST_VARS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 스크립트에 HTTP POST 메소드를 사용해 전달된 변수의 associative 배열

[HTTP_POST_FILES]
함수명 ==>   $HTTP_POST_FILES
사용 형식 ==>   $HTTP_POST_FILES
결과 값 return ==>  
설 명 ==>   현재 스크립트에 HTTP POST 메소드를 사용해 업로드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진 associative 배열

[HTTP_ENV_VARS]
함수명 ==>   $HTTP_ENV_VARS
사용 형식 ==>   $HTTP_ENV_VARS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 스크립트에 현재 환경 변수에서 전달된 변수의 associative 배열

[HTTP_SERVER_VARS]
함수명 ==>   $HTTP_SERVER_VARS
사용 형식 ==>   $HTTP_SERVER_VARS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 스크립트에 HTTP 서버에서 전달된 변수의 associative 배열 이 변수들은 위에서 언급한 Apache 변수들과 유사한 내용으로 되어있다.

[GATEWAY_INTERFACE]
함수명 ==>   $GATEWAY_INTERFACE
사용 형식 ==>   $GATEWAY_INTERFACE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서버가 사용하고 있는 CGI specification의 revision. 예: 'CGI/1.1'.

[SERVER_NAME]
함수명 ==>   $SERVER_NAME
사용 형식 ==>   $SERVER_NAME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 스크립트가 실행되고 있는 호스트의 이름. 만약 스크립트가 가상 호스트에서 실행되고 있다면, 이 값은 가상 호스트의 값이 될 것이다.

[SERVER_SOFTWARE]
함수명 ==>   $SERVER_SOFTWARE
사용 형식 ==>   $SERVER_SOFTWARE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요구에 대한 대답의 헤더에 사용할 서버 identification 문자열

[SERVER_PROTOCOL]
함수명 ==>   $SERVER_PROTOCOL
사용 형식 ==>   $SERVER_PROTOCOL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페이지가 요구되어질 때 사용한 프로토콜의 이름과 리비젼. 예: 'HTTP/1.0';

[REQUEST_METHOD]
함수명 ==>   $REQUEST_METHOD
사용 형식 ==>   $REQUEST_METHOD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페이지가 요구될 때 사용된 method: 예: 'GET', 'HEAD', 'POST', 'PUT'.

[QUERY_STRING]
함수명 ==>   $QUERY_STRING
사용 형식 ==>   $QUERY_STRING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해당 페이지를 접근할 때 사용된 query string.

[DOCUMENT_ROOT]
함수명 ==>   $DOCUMENT_ROOT
사용 형식 ==>   $DOCUMENT_ROOT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 스크립트가 샐행중인 document root 디렉토리. 서버의 설정 파일에 정의되어 있다.

[HTTP_ACCEPT]
함수명 ==>   $HTTP_ACCEPT
사용 형식 ==>   $HTTP_ACCEPT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의 요구(request)에 포함된 Accept: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HTTP_ACCEPT_CHARSET]
함수명 ==>   $HTTP_ACCEPT_CHARSET
사용 형식 ==>   $HTTP_ACCEPT_CHARSET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의 요구(request)에 포함된 Accept-Charset: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예: 'iso-8859-1,*,utf-8'.

[HTTP_ACCEPT_ENCODING]
함수명 ==>   $HTTP_ACCEPT_ENCODING
사용 형식 ==>   $HTTP_ACCEPT_ENCODING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의 요구(request)에 포함된 Accept-Encoding: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예: 'gzip'.

[HTTP_ACCEPT_LANGUAGE]
함수명 ==>   $HTTP_ACCEPT_LANGUAGE
사용 형식 ==>   $HTTP_ACCEPT_LANGUAGE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의 요구(request)에 포함된 Accept-Language: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예: 'en'.

[HTTP_CONNECTION]
함수명 ==>   $HTTP_CONNECTION
사용 형식 ==>   $HTTP_CONNECTION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의 요구(request)에 포함된 Connection: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예: 'Keep-Alive'.

[HTTP_HOST]
함수명 ==>   $HTTP_HOST
사용 형식 ==>   $HTTP_HOST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의 요구(request)에 포함된 Host: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HTTP_REFERER]
함수명 ==>   $HTTP_REFERER
사용 형식 ==>   $HTTP_REFERER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 페이지를 찾아온 페이지.

[HTTP_USER_AGENT]
함수명 ==>   $HTTP_USER_AGENT
사용 형식 ==>   $HTTP_USER_AGENT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의 요구에 포함된 User_Agent: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REMOTE_ADDR]
함수명 ==>   $REMOTE_ADDR
사용 형식 ==>   $REMOTE_ADDR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사용자가 현재 페이지를 보고 있는 시스템의 IP 주소

[REMOTE_PORT]
함수명 ==>   $REMOTE_PORT
사용 형식 ==>   $REMOTE_PORT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사용자의 시스템이 웹서버와 통신하고 있는 port 번호

[SCRIPT_FILENAME]
함수명 ==>   $SCRIPT_FILENAME
사용 형식 ==>   $SCRIPT_FILENAME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 실행되고 있는 스크립트의 절대 경로명

[SERVER_ADMIN]
함수명 ==>   $SERVER_ADMIN
사용 형식 ==>   $SERVER_ADMIN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웹서버 설정 파일에서 SERVER_ADMIN (Apache의 예) 지시자에 설정되어 있는 값.

[SERVER_PORT]
함수명 ==>   $SERVER_PORT
사용 형식 ==>   $SERVER_PORT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웹서버가 사용하는 port 번호. 기본값으로 보통 '80'이 사용.

[SERVER_SIGNATURE]
함수명 ==>   $SERVER_SIGNATURE
사용 형식 ==>   $SERVER_SIGNATURE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server-generated 페이지에 추가되는 서버 버전과 가상 호스트 명. (enabled된 경우만)

[PATH_TRANSLATED]
함수명 ==>   $PATH_TRANSLATED
사용 형식 ==>   $PATH_TRANSLATED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모든 virtual을 real로의 전환을 마친 후, 현재 페이지의 파일시스템 기준의 경로. (document root 기준이 아니다.)

[SCRIPT_NAME]
함수명 ==>   $SCRIPT_NAME
사용 형식 ==>   $SCRIPT_NAME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현재 스크립트의 경로. 이것은 해당 페이지가 자기 자신을 가리킬 때 사용하면 유용하다.

[REQUEST_URI]
함수명 ==>   $REQUEST_URI
사용 형식 ==>   $REQUEST_URI
결과 값 return ==>   문자열
설 명 ==>   이 페이지를 접근하기 위해 사용한 URI. 예: '/index.html'.

[mysql_connect]
함수명 ==>   mysql_connect();
사용 형식 ==>   mysql_connect(MYSQL *mysql, const char *host, const char *user, const char *passwd)
결과 값 return ==>   mysql/NULL
설 명 ==>   데이터베이스 엔진과 연결을 설정하는 함수

[mysql_select_db]
함수명 ==>   mysql_select_db();
사용 형식 ==>   mysql_select_db(MYSQL *mysql, const char *db)
결과 값 return ==>   int
설 명 ==>   mysql_connect() 함수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에 호출하는 함수 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중 접근하려는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는 함수

[mysql_query]
함수명 ==>   mysql_query();
사용 형식 ==>   mysql_query(MYSQL *mysql, const char *query);
결과 값 return ==>   int
설 명 ==>   mysql에 의해서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query에 의해서 지정된 SQL 쿼리를 실행한다.

[mysql_store_result]
함수명 ==>   mysql_store_result();
사용 형식 ==>   mysql_store_result(MYSQL *mysql);
결과 값 return ==>   MYSQL_RES
설 명 ==>   mysql_query가 성공적으로 실행된 후 그 결과를 읽는다.

[mysql_fetch_row]
함수명 ==>   mysql_fetch_row();
사용 형식 ==>   mysql_fetch_row(MYSQL_RES *res);
결과 값 return ==>   MYSQL_ROW
설 명 ==>   쿼리 결과로부터 다음 줄(row)을 불러온다. 더 이상 불러올 데이터가 없으면, NULL을 리턴한다.

[mysql_num_fields]
함수명 ==>   mysql_num_fields();
사용 형식 ==>   mysql_num_fields(MYSQL_RES *result);
결과 값 return ==>   int
설 명 ==>   쿼리 결과에 있는 컬럼(fields)의 숫자를 리턴하는 매크로 함수

[mysql_num_rows]
함수명 ==>   mysql_num_rows();
사용 형식 ==>   mysql_num_rows(MYSQL_RES *result);
결과 값 return ==>   int
설 명 ==>   가장 최근에 타 함수에 의해서 리턴된 행수(ROW)를 리턴하는 매크로 함수(검색결과 갯수 리턴)

[mysql_close]
함수명 ==>   mysql_close();
사용 형식 ==>   mysql_close(MYSQL *mysql);
결과 값 return ==>   void
설 명 ==>   데이터 베이스 엔진과의 연결을 닫는다. 모든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mysql_close으로 connection을 닫아야함.  복귀 값 : 없음

[mysql_eof]
함수명 ==>   mysql_eof();
사용 형식 ==>   mysql_eof(MYSQL_RES *);
결과 값 return ==>   int
설 명 ==>   fetch할 자료가 더 있는지를 검사한다.

[mysql_error]
함수명 ==>   mysql_error();
사용 형식 ==>   mysql_error(MYSQL *mysql);
결과 값 return ==>   char
설 명 ==>   mysql 연결에서 가장 최근에 호출된 MySQL 함수의 오류 메시지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empty string을 리턴

[mysql_affected_rows]
함수명 ==>   mysql_affected_rows();
사용 형식 ==>   mysql_affected_rows(MYSQL *mysql);
결과 값 return ==>   int
설 명 ==>   가장 최근의 UPDATE, DELETE 또는 INSERT에 영향을 받은(affected) row의 수를 반환한다.

[mysql_create_db]
함수명 ==>   mysql_create_db();
사용 형식 ==>   mysql_create_db(MYSQL *mysql, const char *db);
결과 값 return ==>   int
설 명 ==>   mysql에 의해서 지정된 기계에 db라는 이름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mysql_data_seek]
함수명 ==>   mysql_data_seek();
사용 형식 ==>   mysql_data_seek(MYSQL_RES *res, uint offset);
결과 값 return ==>   void
설 명 ==>   쿼리 결과값에서 지정된 행(row)을 찾는다. mysql_use_result()에 의해서 생성된 연결에서는 쓸 수 없다.

[mysql_drop_db]
함수명 ==>   mysql_fetch_field();
사용 형식 ==>   mysql_drop_db(MYSQL *mysql, const char *db);
결과 값 return ==>   int
설 명 ==>   mysql에 의해서 지정된 machine으로부터 db라는 이름을 데이터베이스를 drop한다.

[mysql_fetch_field]
함수명 ==>   mysql_fetch_field();
사용 형식 ==>   mysql_fetch_field(MYSQL_RES *handle);
결과 값 return ==>   MYSQL_FIELD
설 명 ==>   테이블 필드의 타입이 무엇인지 알아낸다.

[mysql_fetch_lengths]
함수명 ==>   mysql_fetch_lengths();
사용 형식 ==>   mysql_fetch_lengths(MYSQL_RES *mysql);
결과 값 return ==>   unsigned int
설 명 ==>   쿼리 결과값에 있는 모든 컬럼의 길이를 리턴한다.

[mysql_field_seek]
함수명 ==>   mysql_field_seek();
사용 형식 ==>   mysql_field_seek(MYSQL_RES *result, int field);
결과 값 return ==>   void
설 명 ==>   컬럼 커서를 컬럼 번호 field로 옮긴다. 이때, field 값 x는 0 <= x <= mysql_num_fields(MYSQL_RES*)-1 이어야한다.

[mysql_free_result]
함수명 ==>   mysql_free_result();
사용 형식 ==>   mysql_free_result(MYSQL_RES *result);
결과 값 return ==>   void
설 명 ==>   쿼리 결과를 저장하고있는 메모리를 free시킨다. mysql_store_result()에 대한 결과값 사용을 마치고 호출해야한다.

[mysql_get_client_info]
함수명 ==>   mysql_get_client_info();
사용 형식 ==>   mysql_get_client_info(void);
결과 값 return ==>   char
설 명 ==>   현재 쓰이고 있는 client 라이브러리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스트링을 리턴한다.

[mysql_get_host_info]
함수명 ==>   mysql_get_host_info();
사용 형식 ==>   mysql_get_host_info(MYSQL *mysql);
결과 값 return ==>   char
설 명 ==>   host의 이름을 리턴한다 (mysql_connect와 host 인자(argument)는 같다).

[mysql_get_proto_info]
함수명 ==>   mysql_get_proto_info();
사용 형식 ==>   mysql_get_proto_info(MYSQL *mysql);
결과 값 return ==>   int
설 명 ==>   연결에 쓰이고 있는 프로토콜의 버전을 얻는다.

[mysql_get_server_info]
함수명 ==>   mysql_get_server_info();
사용 형식 ==>   mysql_get_server_info(MYSQL *mysql);
결과 값 return ==>   char
설 명 ==>   써버의 버전 번호를 리턴한다.

[mysql_insert_id]
함수명 ==>   mysql_insert_id();
사용 형식 ==>   mysql_insert_id(MYSQL *mysql);
결과 값 return ==>   int
설 명 ==>   결과 변수인 'res'에서 AUTO_INCREMENT 필드를 위해서 생성된 ID를 리턴한다.

[mysql_list_dbs]
함수명 ==>   mysql_list_dbs();
사용 형식 ==>   mysql_list_dbs(MYSQL *mysql, const char *wild);
결과 값 return ==>   MYSQL_RES
설 명 ==>   mSQL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포팅하기 위해서 제공되었다. 쿼리처럼 'SHOW databases LIKE wild-card '를 실행하는 것과 유사하다.

[mysql_list_fields]
함수명 ==>   mysql_list_fields();
사용 형식 ==>   mysql_list_fields(MYSQL *mysql, const char *table, const char *wild);
결과 값 return ==>   MYSQL_RES
설 명 ==>   mSQL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포팅하기 위해서 제공되었다.

[mysql_list_processes]
함수명 ==>   mysql_list_processes();
사용 형식 ==>   mysql_list_processes(MYSQL *mysql);
결과 값 return ==>   MYSQL_RES
설 명 ==>   MySQL 데이터베이스 엔진에서 현재 실행 중인 thread의 리스트를 얻는다. 단, process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mysql_list_tables]
함수명 ==>   mysql_list_tables();
사용 형식 ==>   mysql_list_tables(MYSQL *mysql, const char *wild);
결과 값 return ==>   MYSQL_RES
설 명 ==>   mSQL 응용 프로그램을 쉽게 포팅하기 위한 함수. 쿼리처럼 'SHOW tables FROM database'를 하는 것과 유사하다.

[mysql_real_query]
함수명 ==>   mysql_real_query();
사용 형식 ==>   mysql_real_query(MYSQL *mysql, const char *query, uint length);
결과 값 return ==>   int
설 명 ==>   쿼리 스트링을 위해서 크기가 고정된 버퍼를 할당했다면, 이것을 쓸 수 있다.

[mysql_reload]
함수명 ==>   mysql_reload();
사용 형식 ==>   mysql_reload(MYSQL *mysql);
결과 값 return ==>   int
설 명 ==>   MySQL 데이터베이스 엔진이 사용자 권한 테이블을 다시 읽어들이고, 모든 캐쉬를 정리하고, 쓰이지 않는 모든 테이블을 close한다.

[mysql_shutdown]
함수명 ==>   mysql_shutdown();
사용 형식 ==>   mysql_shutdown(MYSQL *mysql);
결과 값 return ==>   int
설 명 ==>   MySQL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shutdown한다. 단, 사용자가 shutdown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mysql_stat]
함수명 ==>   mysql_stat();
사용 형식 ==>   mysql_stat(MYSQL *mysql);
결과 값 return ==>   char
설 명 ==>   커맨드 'mysqladmin version'과 유사한 정보를 문자 배열로 리턴한다.

[mysql_use_result]
함수명 ==>   mysql_use_result();
사용 형식 ==>   mysql_use_result(MYSQL *mysql);
결과 값 return ==>   MYSQL_RES
설 명 ==>   결과를 mysql_fetch_row()에 의해서 써버에서 동적으로 불러오는 것을 제외하면, mysql_store_result()와 같다.










날짜나 시간 함수들은 매우 간단하면서도 꽤나 자주 쓰이죠.

그래서 상당히 중요하지만 쉽게쉽게 넘어가는 경우들이 많죠 :P

그래서 한번 제가 아는 함수들을 가지고 전체적인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우선 date()함수부터 시작하죠~

date() 함수는 어떠한 시간(현재시간이나 예전 시간이나)을 사용자가 원하는 거의 모든 형태로 바꿔줄 수 있습니다.

우선 date()함수가 지원하는 모든 형태들을 알아봐야겠네요.

a : am, pm
A : AM,PM
d : 2자리 정수의 날짜 형태
D : 요일의 앞 3글자 (Fri, Thu, Tue ... )
F : 해당 달의 이름 형태 (March, December, ... )
h : 2자리 정수의 시간 (12시간 이내)
H : 2자리 정수의 시간(24시간)
i : 2자리 정수의 분
l : 해당 날의 요일 (Friday, Thursday ... )
m : 해당 달의 2자리 정수 형태
M : 해당하는 달의 이름 앞 3글자 (Jan, Dec, ... )
s : 정수형의 초
T : 해당하는 달에 날이 몇일까지 있는지 (28,29,30,31)
Y : 해당 년의 4자리 정수 형태 (2001)
y : 해당 년의 2자리 정수 형태 (01)
z : 해당 년 1월 1일부터 몇일째 날인지

위에 것들을 굳이 외울 필요는 없구요. 찾아서 쓰면 되죠 :). 저는 자주 쓰는 몇개만 알구 있어요.

쓸때는요

echo date("Y/m/d H:i:s");

요렇게만 하면 현재 시간이 2002/10/4 13:56:12 이런식으로 나오게 된딥나다~

쓰는 법은 정말 쉽죠 :)

그럼 예전 날짜나 미래 날짜를 지정해서 쓰는 법을 알아봅시다.

mktime() 함수를 이용하면 간단하답니다.

$str = mktime(시간, 분 , 초 , 달 , 날 ,연도);

이렇게 하시면 $str에 지정하신 시간의 자료가 저장됩니다.

그 자료를 date()함수로 자기가 원하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답니다. :)

이런 식으로 시간 함수를 사용하면 정말 많은 것들을 할 수 있씁니다.

어떤 예전 날짜나 미래의 날짜가 무슨 요일인지도 쉽게 알아볼 수 있죠.

그럼 예제로 한번 밀레니엄 버그가 생긴다는 2000년 1월 1일이 무슨 요일이었는지 한번 알아보죠~

echo date("l", mktime(0,0,0,1,1,200));

해주면 200년 1월 1일이 무슨 요일인지 출력합니다.

참고로 방금 해본 결과 토요일이엇네요 :)

제 게시판에 보이는 날짜는 mysql에서 now()로 지정한 날짜를 받아와서 Oct 04, 2002 (Fri) 이런 형태로 만듭니다.

그걸 어떻게 하나 알아봅시다.

now()로 시간을 mysql상에서 저장하게 되면 2002-10-4 19:23:40

이런식으로 저장이 됩니다.

그러면 이렇게

$date = substr($data, 0, 10);
$str = explode("-", $date);
$date = date("M d, Y (D)", mktime(0, 0, 0, $str[1], $str[2], $str[0]));

이런식으로 앞의 10글자만 따오고 ( 2002-10-04 <- 10글자 맞죠? )

"-" 이 다시 기호로 분리시켜서 :)

date()함수와 mktime()함수를 이용해서 날짜를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주게 됩니다.



PHP 배열 관련 함수들  

array_change_key_case -- 모두 대문자나 소문자화된 문자열 키를 갖는 배열로 반환한다
array_chunk -- 배열을 여러 덩어리로 분산시킨다
array_combine -- 키를 위한 배열과 값을 위한 배열을 각각 사용하여 배열을 생성한다
array_count_values -- 배열 값의 수를 센다
array_diff_assoc -- 인덱스 검사와 함께 배열간의 차이를 계산한다
array_diff_uassoc -- Computes the difference of arrays with additional index check which is performed by a user supplied callback function.
array_diff -- 배열간의 차이를 계산한다
array_fill -- 배열을 특정값으로 채운다
array_filter -- 콜백함수를 사용하여 배열의 원소를 필터한다
array_flip -- 배열안의 모든 키를 각 키의 연관값으로 바꾼다.
array_intersect_assoc -- 인덱스 검사과 함께 배열의 중복을 계산한다
array_intersect -- 배열의 중복을 계산한다
array_key_exists -- 주어진 키와 인덱스가 배열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array_keys -- 배열의 모든 키를 반환한다
array_map -- Applies the callback to the elements of the given arrays
array_merge_recursive -- 두개 이상의 배열을 재귀적으로 병합한다
array_merge -- 두개 이상의 배열을 병합한다
array_multisort -- 여러개의 배열 또는 다차원 배열을 정렬한다
array_pad -- 설정된 길이만큼 특정 값으로 배열을 채운다
array_pop -- 배열 끝의 요소를 뽑아낸다
array_push -- 배열의 끝에 하나 이상의 원소를 넣는다.
array_rand -- 배열안에서 하나 이상의 임의 원소를 뽑아낸다
array_reduce -- 콜백 함수를 사용하여 배열을 반복적으로 단일 값으로 축소시킨다
array_reverse -- 배열 원소를 역순으로 반환한다
array_search -- 배열에서 주어진 값을 검색하고 성공하면 해당 키를 반환한다
array_shift -- 배열의 맨 앞에 있는 원소를 옆으로 이동시킨다
array_slice -- 배열의 일부를 추출한다
array_splice (배열명, 제거할배열시작번호번호,제거할배열갯수); 시작번호는0번부터시작. //배열의 일부를 삭제하고, 그 위치에 다른 내용을 대체한다
array_sum -- 배열내의 값들의 합을 계산한다
array_udiff_assoc -- Computes the difference of arrays with additional index check. The data is compared by using a callback function.
array_udiff_uassoc -- Computes the difference of arrays with additional index check. The data is compared by using a callback function. The index check is done by a callback function also
array_udiff -- Computes the difference of arrays by using a callback function for data comparison.
array_unique -- 배열에서 중복된 값을 제거한다
array_unshift -- 배열의 맨 앞에 하나 이상의 원소를 첨가한다
array_values -- 배열의 모든 값들을 반환한다
array_walk -- 배열의 개개의 원소에 대해서 특정 함수를 적용하여 수행한다
array -- 배열을 생성한다
arsort -- 배열을 내림차순 정렬하고 인덱스의 상관관계를 유지한다.
asort -- 배열을 정렬하고 인덱스 상관 관계를 유지한다
compact -- 여러 변수들과 값을 갖는 배열을 생성한다
count -- 변수의 원소 갯수를 구한다
current -- 배열의 현재 원소를 반환한다
each -- 배열에서 현재의 키와 값 쌍을 반환하고 배열 커서를 전진시킨다
end -- 내부 배열 포인터를 마지막 원소를 가리키게 한다
extract -- 배열의 현재 심볼 테이블로 변수들을 입력한다
in_array -- 배열에서 값이 존재하는지 점검한다
key -- 연관배열에서 키를 꺼낸다
krsort -- 역순으로 키에 의해 배열을 정렬한다
ksort -- 키에 의해 배열을 정렬한다
list -- 배열처럼 변수들을 지정한다
natcasesort --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고 'natural orde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배열을 정렬한다
natsort -- 'natural orde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배열을 정렬한다
next -- 배열의 내부 배열 포인터를 전진시킨다
pos -- 배열에서 현재 원소를 꺼내온다
prev -- 내부 배열 포인터를 앞으로 돌린다
range -- 특정 범위의 원소를 갖는 배열을 생성한다
reset -- 배열의 내부 포인터가 배열의 첫번째 원소를 가리키게 한다
rsort -- 역순으로 배열을 정렬한다
shuffle -- 배열을 뒤섞는다
sizeof -- count()의 별칭
sort -- 배열을 정렬한다
uasort -- 사용자-정의 비교함수로 배열을 정렬하고 인덱스 연관성을 유지한다
uksort -- 사용자-정의된 비교함수를 사용하여 키에 의해 배열을 정렬한다
usort -- 사용자-정의된 비교함수를 사용하여 값들에 의해 배열을 정렬한다


----------------------------------------------------------------------------------------------
global_register 의 설정이 off 로 되어 있는것은 맞습니다.

form 값은 주로 post 와 get 등 두가지 방법으로 넘어 옵니다..

추가로 설명을 드리자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html 페이지가 있을 경우



<form name='test'  method='post' action='test015.php?id1=3' >

더하기
<input type='text' name='id3' value='6'>
<input type='submit' value='값전송'>

</form>



global_register =on 일경우

get 방식으로 넘어오든 post 방식으로 넘어오든 상관없이  값을

$t_id1 = $id1;

$t_id2 = $id2;

$t_id3 = $id3;

이런 방식으로 값을 받아 올수 있지만.

global_register =off 일경우

$t_id1 = $id1;

$t_id2 = $id2;

$t_id3 = $id3;

로 할경우  get 방식으로 넘어 왔는지 post 방식으로 값이 넘어 왔는지 알수가 없어 값이

"" 또는 null 값이 저장이 됩니다.

따라서.. 값을 제대로 받기 위해서는 $_GET($HTTP_GET_VARS), $_POST(HTTP_POST_VARS)를 이용해서 값을 받아 와야만 합니다.

$_GET 은  4.1.0부터 지원되는 환경변수로 이전 버전에서는 $HTTP_GET_VARS를 사용되었습니다
GET 메소드를 통해 현재 스크립트에 전달되는 변수의 연관 배열로 어떤 영역에서는 자동으로 전역화됩니다.
이변수는 '슈퍼전역'자동 전역, 변수로 스크립트 내의 모든 영역에서 사용가능합니다
$HTTP_GET_VARS를 사용할때와 마찬가지로 함수나 메소드에서 이 변수에 접근하기 위해 global $_GET;를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HTTP_GET_VARS는 동일한 초기치 정보를 갖지만 자동전역이 아닙니다.(HTTP_GET_VARS 와 $_GET는 다른 변수이며 PHP가 따로 다루게 된다는 것에 주의)

$_POST 또한 : 4.1.0부터 지원되며 이전 버전에서는 $HTTP_POST_VARS를 사용되었습니다.
POST 메소드를 통해 현재 스크립트에 전달되는 변수의 연관 배열로 어떤 영역에서는 자동으로 전역화됩니다.
이변수는 '슈퍼전역', 도는 자동 전역, 변수로 스크립트 내의 모든 영역에서 사용가능하다는 것이다.
$HTTP_POST_VARS를 사용할때와 마찬가지로, 함수나 메소드에서 이 변수에 접근하기 위해 global $_POST;를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HTTP_POST_VARS는 동일한 초기치 정보를 갖지만 자동전역이 아닙니다. (HTTP_POST_VARS 와 $_POST는 다른 변수이며 PHP가 따로 다루게 된다는 것에 주의한다)




따라서 위 예제의 값을 제대로 받아서 처리 하기 위해서는

test015.php에서 값을 받을 때에는 id1과 id2는 get 방식으로 값이 넘어 오게 되며

id3은 post 방식으로 값이 전송하게 되므로



$t_id1 = $_GET[id1];

$t_id2 = $_GET[id2];

$t_id3 = $_POST[id3];



이런식으로 값을 받아 처리 해야 됩니다



global_register 의 설정을on으로 변경을 해도 무방하지만 보안상 많은 취약점이 드러 나므로 global_register 의 설정을 off 상태로 두시고 프로그램 작업을 하시면됩니다.


---------------------------------------------------------------------------------------------

<FORM ENCTYPE="multipart/form-data" action="form_action.php" method=POST>

<input type="hidden" name="MAX_FILE_SIZE" value="1000">

<Input name="userfile" type=file>

<input type="submit" value="확인">

</FORM>



이것이 가장 기초형식이라 하겠다.



그러면 form_action.php 에서는 다음과같은 변수가 생성 된다.

$userfile  :: 서버에 업로드된 임시파일명 및 경로.

$userfile_name  :: 클라이언트에서 보낸 파일명.

$userfile_size  :: 업로드 된 파일 크기.

$userfile_type  ::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mime 형식... (이는 브라우저에 따라 지 멋데로 달라서 사용 하지 않는다.)



위 변수와 함께 다음과같이 정의 된다.

$HTTP_POST_FILES['userfile']['tmp_name']

$HTTP_POST_FILES['userfile']['name']

$HTTP_POST_FILES['userfile']['size']

$HTTP_POST_FILES['userfile']['type']



그러면 이를 퍼담는 방식은



if(is_upload_file($userfile)) {

    move_uploaded_file(userfile,"/serverDir/uploadDir/".$userfile_name);

}

else

    print "Upload Error";



라고 한다.

is_uploaded_file 과 move_uploaded_file 함수만 알면 된다.

----------------------------------------------------------------
여러개 파일을 동시에 업로드 할 경우의 예제.



<form ENCTYPE="multipart/form-data" methode=post action="upload_action.php">

<input type=file name="userfile[]"><br>

<input type=file name="userfile[]">

<input type=submit value="확인">

</form>



위와같이 쓰면 배열로 읽어들인다.



$userfile[0], $userfile[1], ... 이런식으로 읽는다.





//배열이 아닐때
클라이언트에서의 원래 파일명

$HTTP_POST_FILES[][name]          

해당 파일의 mime 타입. 브라우저가 이 타입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설정
$HTTP_POST_FILES[][type]

업로드가 완료된후 서버에 저장된 파일의 파일명
$HTTP_POST_FILES[][tmp_name]
업로드된 파일의 크기. byte 단위

$HTTP_POST_FILES[][size]

//배열일때
$HTTP_POST_FILES[][name][i]
$HTTP_POST_FILES[][type][i]
$HTTP_POST_FILES[][tmp_name][i]
$HTTP_POST_FILES[][size][i]



--------------------------------------------------------------


GATEWAY_INTERFACE = CGI/1.1
서버가 사용하고 있는 CGI specification의 revision. 예: 'CGI/1.1'.

SERVER_NAME = home1.jbch.org
현재 스크립트가 실행되고 있는 호스트의 이름. 만약 스크립트가 가상 호스트에서 실행되고 있다면, 이 값은 가상 호스트의 값이 될 것이다.

SERVER_SOFTWARE = Apache/1.3.34 (Unix) mod_throttle/3.1.2 PHP/4.3.11
요구에 대한 대답의 헤더에 사용할 서버 identification 문자열

SERVER_PROTOCOL = HTTP/1.1
페이지가 요구되어질 때 사용한 프로토콜의 이름과 리비젼. 예: 'HTTP/1.0';

REQUEST_METHOD = GET
페이지가 요구될 때 사용된 method: 예: 'GET', 'HEAD', 'POST', 'PUT'.

QUERY_STRING = sample=1
해당 페이지를 접근할 때 사용된 query string.

CONTENT_LENGTH =
POST방식을 통해 전달되는 입력정보의 길이 표시.

DOCUMENT_ROOT = /home/httpd/html/church/home1
현재 스크립트가 샐행중인 document root 디렉토리. 서버의 설정 파일에 정의되어 있다.

HTTP_ACCEPT = image/gif, image/x-xbitmap, image/jpeg, image/pjpeg, application/x-ms-application, application/vnd.ms-xpsdocument, application/xaml+xml, application/x-ms-xbap, application/vnd.ms-excel, application/msword, application/vnd.ms-powerpoint, application/x-shockwave-flash, */*
현재의 요구(request)에 포함된 Accept: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HTTP_ACCEPT_CHARSET =
현재의 요구(request)에 포함된 Accept-Charset: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예: 'iso-8859-1,*,utf-8'.

HTTP_ENCODING =
현재의 요구(request)에 포함된 Accept-Encoding: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예: 'gzip'.

HTTP_ACCEPT_LANGUAGE = ko
현재의 요구(request)에 포함된 Accept-Language: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예: 'en'.

HTTP_CONNECTION = Keep-Alive
현재의 요구(request)에 포함된 Connection: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예: 'Keep-Alive'.

HTTP_HOST = home1.jbch.org
현재의 요구(request)에 포함된 Host: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HTTP_REFERER =
현재 페이지를 찾아온 페이지. 현재페이지로 넘어오는 링크가 있고, 이 링크를 클릭하여 현재 페이지로 넘어온 경우 이전 페이지의 주소가 설정된다. 이 값은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HTTP_USER_AGENT = Mozilla/4.0 (compatible; MSIE 7.0; Windows NT 6.0; SLCC1; .NET CLR 2.0.50727; Media Center PC 5.0; .NET CLR 3.0.04506)
현재의 요구(request)에 포함된 User_Agent: 헤더의 내용 (존재하는 경우만). 현재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할 브라우저 소프트웨어의 상징이 되는 문자열이다. 예:Mozilla/4.5 [en] (X11; U; Linux 2.2.9 i586) 특히, 이 값을 get_browser()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해당 페이지를 시용자의 브라우저의 능력에 맞춰서 만들어 낼 수도 있다.

REMOTE_ADDR = 59.14.117.51
사용자가 현재 페이지를 보고 있는 시스템의 IP 주소

REMOTE_HOST =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호스트 이름

REMOTE_PORT = 59291
사용자의 시스템이 웹서버와 통신하고 있는 port 번호

SCRIPT_FILENAME = /home/httpd/html/church/home1/basic_tip.php
현재 실행되고 있는 스크립트의 절대 경로명

SERVER_ADMIN = scmaster@jbch.org
웹서버 설정 파일에서 SERVER_ADMIN (Apache의 예) 지시자에 설정되어 있는 값. 만약 스크립트가 가상 호스트 상에서 실행되고 있다면 이 값은 virtual host 설정내에 설정된 값이 된다.

SERVER_PORT = 80
웹서버가 사용하는 port 번호. 기본값으로 보통 '80'이 사용되지만, 예를들어 SSL을 사용하는 경우 여러분이 지정한 secure HTTP 포트의 값이 사용된다.

SERVER_SIGNATURE =
server-generated 페이지에 추가되는 서버 버전과 가상 호스트 명. (enabled된 경우만)

PATH_TRANSLATED = /home/httpd/html/church/home1/basic_tip.php
모든 virtual을 real로의 전환을 마친 후, 현재 페이지의 파일시스템 기준의 경로. (document root 기준이 아니다.)

SCRIPT_NAME = /basic_tip.php
현재 스크립트의 경로. 이것은 해당 페이지가 자기 자신을 가리킬 때 사용하면 유용하다.

REQUEST_URI = /basic_tip.php?sample=1
이 페이지를 접근하기 위해 사용한 URI. 예: '/index.html'.

PHP_SELF = /basic_tip.php
document root를 기준으로 한 현재 실행중인 스크립트의 파일 이름. PHP를 커맨드라인으로 샐행한 경우 이 변수는 사용할 수 없다.

HTTP_COOKIE_VARS = Array
현재 스크립트에 HTTP 쿠키를 사용해 전달된 변수의 associative 배열

HTTP_GET_VARS = Array
현재 스크립트에 HTTP GET 메소드를 사용해 전달된 변수의 associative 배열

HTTP_POST_VARS = Array
현재 스크립트에 HTTP POST 메소드를 사용해 전달된 변수의 associative 배열

HTTP_POST_FILES = Array
현재 스크립트에 HTTP POST 메소드를 사용해 업로드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진 associative 배열 Array 배열의 내용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POST method uploads 부분을 살펴보자.

HTTP_ENV_VARS = Array
현재 스크립트에 현재 환경 변수에서 전달된 변수의 associative 배열

HTTP_SERVER_VARS = Array
현재 스크립트에 HTTP 서버에서 전달된 변수의 associative 배열 이 변수들은 위에서 언급한 Apache 변수들과 유사한 내용으로 되어있다.


-----------------------------------------------------------------------------------
2. 변수 (추가정보)



변수의 기본 사용방법을 이전 강좌로 충분히 이해 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몇가지 기억하시고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우선 변수가 사용되는 영역을 알아보겠습니다.





<?
$a = "지용이";



function test() {
   echo $a;
}



test();
?>





위에 예제를 실행시켜 보시면 아무 것도 출력이 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함수 test() 안에서 사용되는 $a 변수와 그 전에 정의된 $a 변수는 서로 다른 변수이기 때문입니다. 함수안에서 사용된 변수를 우리는 지역변수라고 부릅니다. test() 라는 지역안에서 사용되는 변수라는 말이죠. 그럼 test() 함수 밖에 있는 변수를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



function test() {
   global $a;
   echo $a;
}



위와 같이 global 키워드를 사용하면 전역변수로 지정이 되며 test() 함수에서도 $a 변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런데 $a 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또 있답니다.



우선 알아야 할 것이 함수 밖에서 선언된 $a 변수는 선언과 동시에 전역변수가 되는 것입니다. 단지 test() 함수에서는 외부에서 선언된 전역변수 $a 를 사용할 것인지 아님 함수 안에 지역변수로서의 $a 를 사용할 것인지를 함수 내에서 결정을 하는 것이지요.


PHP 에서는 위에서 말한 전역변수들을 $GLOBALS 라는 변수를 이용해서 접근할 수 있답니다. $GLOBALS 는 슈퍼전역변수라고 하며 이 변수는 어디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답니다. 그럼 위의 예제를 조금 수정해 보면...



function test() {
   echo $GLOBALS["a"];
}



위와 같이 사용할 수있는 것이죠...^^
음 그럼 슈퍼전역변수라는 것이 $GLOBALS 하나 밖에 없을까요? 아래 슈퍼전역변수들 입니다.
(아래 내용은 PHP 메뉴얼에서 복사해 왔습니다...^^)






$GLOBALS : 스트립트의 전역 유효영역에서 쓸수있는 모든 변수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이 배열의 key는 전역 변수들의 이름이다. PHP 3 이래로 $GLOBALS가 존재해왔다.



$_SERVER : 웹서버나, 현재 스크립트의 실행환경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설정되는 변수이다. 구버전의 $HTTP_SERVER_VARS 배열과 동일하다.



$_GET : HTTP GET에 의해 스크립트로 제공되는 변수이다. 구버전의 $HTTP_GET_VARS 배열과 동일하다.



$_POST : HTTP POST에 의해 스크립트로 제공되는 변수이다. 구버전의 $HTTP_POST_VARS 배열과 동일하다.



$_COOKIE : HTTP 쿠키에 의해 스크립트로 제공되는 변수이다. 구버전의 $HTTP_COOKIE_VARS 배열과 동일하다.



$_FILES : HTTP post 파일 업로드에 의해 스크립트로 제공되는 변수이다. 구버전의 $HTTP_POST_FILES 배열과 동일하다. 더 자세한 정보는 POST 메소드 업로드를 참고하도록 한다.



$_ENV : 환경에 의해 스크립트로 제공되는 변수이다. 구버전의 $HTTP_ENV_VARS 배열과 동일하다.



$_REQUEST : GET, POST, COOKIE 입력 메카니즘을 통해 스크립트로 제공되는 변수이다. 이 메카니즘은 신용될수는 없다. 이 배열 안에 포함된 존재하는 변수와 변수의 나열 순서는 PHP variables_order 설정 디렉티브에 의해 정의된다. 이 배열은 PHP 4.1.0 이전 버전에서 동일한 변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_SESSION : 스크립트의 세션에 등록되는 변수이다. 구버전의 $HTTP_SESSION_VARS 배열과 동일하다. 더 자세한 정보는 Session handling functions섹션을 참고.







위와 같은 슈퍼전역변수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이번엔 가변변수라는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가변 변수는 변수를 선언하고 해당 변수를 다른 변수값을 이용해서 접근하는 방식입니다. 음 좀 말이 이상한데요...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abc = "테스트";
$test = "abc";

echo ${$test};
?>



위 소스를 실행 하면 테스트라고 출력됩니다. 바로 ${$test} 가 가변변수가 되는 것인데요. 이 부분을 한번 풀어 써보시면 이해가 쉬우리라 생각됩니다. 중괄호 안에 있는 $test 를 변경해 보면? ${abc} 가 되죠. 그럼 소스가 말하고 있는 것은 echo $abc; 가 되는 것입니다. 이런 것이 과연 어디에 유용할지 궁금하시다고요? 아래 예제를 보세요.



음 우선 $a1 ~ $a100 까지의 변수가 있다고 가정하고 이 변수들 값을 출력하고자 한다면?



echo $a1;
echo $a2;
.
.
.
echo $a99;
echo $a100;



휴~이렇게 100번을 써야겠네요. 하지만 가변변수를 이용하면...



for($i=1;$i<=100;$i++) {
   $tmp = "a".$i;
   echo ${$tmp};
}



위와 같이 100번을 쓰실 필요 없이 정말 간단히 해결이 되었습니다.
앞으로 난이도가 높아질 수록 가변변수의 중요성은 직접 느끼시리라 생각됩니다...^^



3. Constants 상수



마지막으로 상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음 배열강좌의 참고사항에서 잠시 언급한적이 있지요...^^a


상수란 변수와 반대의 개념으로 변하지 않는 고정된 값을 말합니다.

상수를 이용하기 위한 몇가지 규칙을 알아보겠습니다.



1. define() 함수를 이용해서 생성한다.
2. 문자 또는 언더바(_) 로 시작된다.
3. $ 표시를 이용하지 않는다.
4. 스칼라 데이터(boolean, integer, float 과 string)만 상수의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5. 상수는 어디서나 선언되고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값을 변경할 수는 없다.



상수에 대해서는 위와 같이 5가지만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한번 상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
define("TEST", "테스트 입니다.");

echo TEST;
?>



위 예제는 '테스트 입니다.' 를 출력합니다. 간단하지요.
음 그런데 역시 상수에도 슈버전역변수 처럼 미리 정의된 상수가 존재 합니다. 음 내용이 많기 때문에 아래 3개의 링크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kr.php.net/manual/kr/language.constants.predefined.php
http://kr.php.net/manual/kr/reserved.constants.core.php
http://kr.php.net/manual/kr/reserved.constants.standard.php


추천추천 : 531 추천 목록
번호 제목
2,891
입력 필드에서 특정단어(예:#err)가 포함되었을 때 실시간 감지 및 경고창 띄우기
2,890
데이터베이스 최적화와 쿼리 효율성을 높이 검색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
2,889
간단한 게시판 만들기
2,888
PHP의 php.ini 파일에서 설정할 수 있는 주요 항목들을 카테고리별로 정리
2,887
유튜브 동영상의 썸네일 이미지를 체크하여 유효한 영상이아닐때 연결된 체크박스를 자동으로 체크
2,886
이미지 URL이 유효하지 않을 때, 해당 이미지와 연결된 체크박스를 자동으로 체크
2,885
HTTPS로 접속한 사용자를 강제로 HTTP로 리디렉션 하려면
2,884
PHP에서 MP3 파일을 직접 읽고 스트리밍 하기
2,883
현재 페이지가 location.reload()에 의해 새로고침되었는지
2,882
텍스트 파일을 읽고, 각 줄의 끝에서 6글자를 삭제한 후, 결과를 새로운 파일에 저장합니다.
2,881
cURL을 사용하여 리다이렉트를 따라가 최종 URL 가져오기
2,880
[PHP] $_SERVER 환경변수
2,879
10진수 <-> 16진수 변환기 PHP소스
2,878
텍스트에 직접 그라데이션 색상을 적용하려면?
2,877
CSS를 사용하여 요소의 내용물에 따라 width를 조정하는 방법
2,876
웹서버 ip 확인
2,875
웹호스팅의 절대경로를 확인
2,874
input 입력 필드 앞뒤 공백 실시간 제거
2,873
Placeholder 포커스시 감추기
2,872
MySQL 중복된 데이터를 삭제
2,871
MySQL 중복 데이터 확인
2,870
sessionStorage.getItem 와 sessionStorage.setItem
2,869
제이쿼리 랜덤으로 배경색 변경
2,868
preg match에 관한 정규식
2,867
Stream an audio file with MediaPlayer 오디오 파일 스트리밍 하기
2,866
Audio Streaming PHP Code
2,865
PHP $ SERVER 환경 변수 정리
2,864
Vimeo (비메오) API 를 사용하여 플레이어 컨트롤하기
2,863
iframe 사용시 하단에 발생하는 공백 제거방법
2,862
아이프레임(iframe) 전체화면 가능하게 하기
목록
뮤직트로트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 ㅣ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 musictrot All rights reserved.